- ▲ 일러스트 양혜원
가갸 거겨
고교 구규
그기 가.
라랴 러려
로료 루류
르리 라.
(1949)
한하운(1919~1975)은 함경남도 함주 태생으로 본명은 태영(泰永)이다.
한때 경기도청의 공무원이었는데, 한센병을 얻어 고향으로 돌아가 요양하다가 1948년에 남쪽으로
내려 왔다. 1949년에 첫 시집 《한하운시초》(1949·정음사)를 냈다.
"천안 삼거리를 지나도/
쑤세미 같은 해는 서산에 남는데./
가도가도 붉은 황톳길/
숨막히는 더위 속으로 쩔름거리며/
가는 길…/
(…) /
버드나무 밑에서 지까다비를 벗으면/
발가락이 또 한 개 없다./
앞으로 남은 두 개의 발가락이 잘릴 때까지/
가도가도 천리 먼 전라도길."
(〈전라도길〉)
'문둥병'이라는 천형의 병고를 지고 걷는 인생길은 팍팍해서 가도가도 끝이 보이지 않는
숨 막힌 길이었겠다.
그 숨 막히는 길에 개구리 울음 소리는 천둥 치는 듯하다.
그 굉음(轟音)이 시방세계를 떠밀고 어디론가 데려간다. 산 것들은 왜 태어나는가.
산 것들은 왜 저리도 울어대는가.
저 무논에서 울려 퍼지는 제창(齊唱)을 그레고리오 성가라면 하면 안 되나.
호모 사피엔스는 저 양서류의 떼울음 소리를 어린 것이 한글 자음과 모음을 외는 소리로 들었다.
묵독(默讀)이 아니다. 어린 것들은 낭랑한 목청으로 음독(音讀)한다.
호모 사피엔스여, 너의 유아독존과 이성(理性)을 자랑하지 마라.
봄밤은 온통 법당이고, 저 미물의 소리가 바로 게송(偈頌)이다.
소록도는 먼데, 개구리 울음 소리는 세상에 그득하다.
지구가 자전(自轉)하는 이 밤에도 저 어린 것들의 학습 진도는 거침이 없구나.
가갸 거겨에서 시작해서 벌써 라랴 러려까지 나갔구나.
개구리 울음 소리를 듣는 자는 필경 집 밖에 있는 자다.
집 나와 길 가는 자는 승려나 걸인이나 '문둥이'거나 모두 출가자(出家者)다.
밤하늘을 지붕 삼고, 산발한 채 노래하며 길을 걷는 것은 한산(寒山)만이 아니다.
시인 한하운도 개구리 우는 봄밤을 하염없이 걸어 남행한다.
천안 논산 익산 정읍 지나 구례쯤 왔을까. 걸어온 길 아득한데, 저 달빛 아래 뻗은 황톳길은 더 아득하다.
버드나무 밑에서 숨을 고르며 신발을 벗는데, 발가락이 또 한 개 사라졌다.
이렇듯 산다는 것은 제가 가진 것들을 하나씩 잃는다는 것이다.
더 잃을 게 없을 때 우리는 이 육체라는 무거운 짐마저 벗어두고 세상을 뜬다.
그게 해탈(解脫)이고, 우화등선(羽化登仙)이다.
[애송 동시 - 제 19 편] 개구리
한 하 운
소록도 가는 길… 개구리 讀經 소리 가득하구나
..................
偈頌(게송)부처의 공덕을 찬미하는 노래. 외기 쉽도록 게구로 지었음
羽化登仙(우화등선)
날개가 돋아 신선(㉡신령
㉢정신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7-36-03" ;>神㉡센트(미국 화폐 단위)
㉢선교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7-13-02" ;>仙)이 되어 하늘에 오른다는 뜻으로, 술이 거나하게 취하여 기분(㉡숨
㉢힘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1-57-07" ;>氣㉡구별
㉢길이, 무게, 시간, 각도, 화폐 따위의 단위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6-22-01" ;>分)이 좋음
고사유래
우화(㉡날개
㉢새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2-08-43-01" ;>羽㉡교화하다
㉢가르치다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14-28-02" ;>化)라는 말의 원뜻은 번데기가 날개 있는 벌레로 바뀐다는 뜻이다.
따라서 우화등선이란 땅에 발을 붙이고 살게 되어 있는 사람이 날개가 돋친 듯 날아 올라가 신선이 된다
는 뜻. 일종의 이상 동경이라 할 수 있다.
이 말은 소동파의 전적벽부(㉡먼저
㉢앞서다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9-11-04" ;>前㉡비다
㉢벌거벗다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9-10-02" ;>赤㉡진터
㉢군루(軍壘)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2-06-11-01" ;>壁㉡군비
㉢문채(文彩: 문장의 멋) 이름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2-06-20-09" ;>賦)에 나온다.
「임술년(1082) 가을 7월 16일에, 동파가 손님과 더불어 배를 띄우고 적벽의 아래에서 놀 때에 청풍은
천천히 불고 물결은 일지 않았다. 술을 들어 손에게 권하며 『시경(㉡시경
㉢받들다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7-34-05" ;>詩㉡목매다
㉢다스리다
')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1-22-04" ;>經)』의 명월편을 암송하고
요조의 장을 노래 불렀다. 이윽고 달이 동산 위에 나와 남두성과 견우성 사이에서 배회하더라.
흰 이슬은 강을 가로지르고 물빛은 하늘에 닿은지라, 쪽배가 가는 대로 맡겨 아득히 넓은 강을 지나가니, 넓고 넓도다. 허공을 타고 바람을 몰아 가서 그 그치는 곳을 모르겠고, 너울너울 날아오르도다. 속세를 버리고 홀로 서서 날개가 돋아 신선이 되어 올라가는 것 같구나.
이때에 술을 마셔 즐거움이 더하니 뱃전을 두드리며 노래하였다.
赤壁賦
임술지추 칠월기망 소자여객 범주유어적벽지하. 청풍서래 수파불흥.
㉢세월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8-58-04" target=_blank ;>陰㉡역법
㉢수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2-04-13-01" target=_blank ;>曆)으로 16일, 이미 망월(㉡바라보다
㉢원망하다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5-05-04" target=_blank ;>望㉡세월
㉢다달이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8-49-01" target=_blank ;>月:15일)이 지났다는 뜻에서 16일 :소동파(㉠회생하다
㉡깨어나다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2-07-19-03" target=_blank ;>蘇㉡동녘으로 가다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3-14-05" target=_blank ;>東㉡진동하는 결
㉢눈의 영채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13-01-02" target=_blank ;>波)의 적벽부(㉡비다
㉢벌거벗다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9-10-02" target=_blank ;>赤㉡진터
㉢군루(軍壘)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2-06-11-01" target=_blank ;>壁㉡군비
㉢문채(文彩: 문장의 멋) 이름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2-06-20-09" target=_blank ;>賦)에 말하되 "임술년의 가을 7월 16일에 소동파가 객(㉡나그네
㉢사람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1-09-01" target=_blank ;>客)과 더불어 배를 적벽강에 띄우고 놀 때, 맑은 바람은 천천히 불어오고 물결의 파도는 일어나지 않고 잔잔하니라." 泛舟범주(汎舟). 배를 물에 띄움.
거주촉객 송명월지시 가요조지장. 소언, 월출어동산지상 배회어두우지간.
㉢갑자기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3-15-01" target=_blank ;>斗㉡세월
㉢별 이름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7-17-08" target=_blank ;>星)과 우성(㉡별 이름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8-43-04" target=_blank ;>牛㉡세월
㉢별 이름
')" style="COLOR: #666666" onmouseout=tooltipOff() href="http://handic.daum.net/dicha/view_detail.do?q=11-07-17-08" target=_blank ;>星). 북두성과 견우성 徘徊 목적(目的) 없이 거닒
백로횡강 수광접천
종일위지소여 능만경지망연. 호호호 여빙허어풍 이부지기소지.
표표호 여유세독립 우화이등선 어시 음주락심 구현이가지
가왈:계도혜난장 격공명혜소류광 묘묘혜여회 망미인혜천일방
..
'스크렙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화순을 사랑한 김삿갓의 흔적, 구암마을 김삿갓 종명지(終命地) (0) | 2015.11.30 |
---|---|
[스크랩] [시] 눈 [雪]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마광수 (0) | 2015.11.25 |
[스크랩] 팥탈곡 (0) | 2015.11.13 |
[스크랩] 움막짓고 자연인으로 살 분에게 땅 제공할게요 (0) | 2015.11.10 |
[스크랩] 우리의 농UP, 희망의 농UP 2015 국제농업박람회를 찾아서.. (0) | 2015.11.08 |